방광암은 중장년층 이상에서 자주 발생하는 암 중 하나입니다. 그중에서도 가장 흔한 형태가 바로 요로상피암(Urothelial carcinoma)인데요, 예전에는 '이행상피암'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. 전체 방광암의 약 90% 이상이 요로상피암이며, 이 중에서도 유두형 요로상피암은 가장 흔하고 비교적 예후가 좋은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✅ 유두형 요로상피암이란?
유두형 요로상피암은 방광의 점막에 생겨나서, 마치 꽃모양처럼 돌출된 형태로 자라는 종양입니다. 눈에 띄는 모양 덕분에 초기에 발견될 가능성이 높고, 수술로 제거하기 쉬운 경우가 많습니다.
✔️ 주요 특징 요약
- 방광 점막 표면에서 돌출된 꽃모양 종양
- **비침윤성(표재성)**인 경우가 많아 예후가 좋음
- 재발은 잦지만 생존율은 높은 편
- TUR-BT 수술 + BCG 면역치료 조합이 일반적
- 정기적인 내시경 검진이 필수
실제로 저희 가족도 유두형 요로상피암으로 진단받아 TUR-BT(경요도 방광 종양 절제술) 후, 정기적으로 내시경 검사를 하며 잘 관리하고 있습니다.
✅ 방광암의 유두형 vs 비유두형 차이
방광암은 조직의 생김새와 성장 방식에 따라 유두형과 비유두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, 이 두 형태는 진단과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.
🔹 유두형(papillary)
- 방광 안쪽에 꽃처럼 돌출된 형태
- 비침윤성(표재성)인 경우가 많음
- 초기 발견 가능성 높고, 예후도 좋음
- 재발이 많지만 치료 반응은 좋은 편
🔹 비유두형(non-papillary 또는 고형형, flat)
- 납작하거나 두껍게 자라며, 표면에 드러나지 않음
- 침윤성일 가능성 높음, 즉 방광 근육층까지 퍼질 수 있음
- 진행이 빠르고 예후도 상대적으로 나쁨
비유두형은 발견이 늦어질 수 있고, 적극적인 수술 및 항암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✅ 유두형 요로상피암 치료법
초기 단계의 유두형 방광암은 대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치료합니다.
- TUR-BT 수술
종양을 내시경으로 절제하는 방법입니다. 마취 후 방광 내시경을 이용해 종양을 긁어냅니다. - 조직검사 후 병기 확인
절제한 종양을 조직검사해 암의 침윤 정도와 등급을 확인합니다. - BCG 면역치료
비침윤성 고위험군에게는 **BCG(결핵균을 활용한 면역요법)**를 방광에 주입하여 재발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 - 정기 추적검사(내시경, 소변검사 등)
방광암은 재발률이 높은 암이므로 치료 후에도 수개월 단위로 내시경 검사가 필요합니다.
✅ 예후는 어떤가요?
유두형 요로상피암은 비침윤성일 경우 5년 생존율이 90% 이상으로 보고됩니다. 그러나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완치보다는 ‘잘 관리하는 것’이 핵심입니다. 특히 흡연은 방광암 재발과 관련이 크므로 금연도 매우 중요합니다.
📝 마무리 요약
구분 유두형 비유두형
모양 | 꽃처럼 돌출 | 납작하게 퍼짐 |
발견 시기 | 비교적 빠름 | 늦을 수 있음 |
침윤성 | 낮음 | 높음 |
예후 | 좋음 | 나쁨 가능성 있음 |
치료 | TUR-BT + 면역치료 | 적극적 수술, 항암 필요 가능성 |
방광암은 무섭게 느껴질 수 있지만, 정확한 진단과 꾸준한 관리로 충분히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유두형 요로상피암은 조기 발견 시 수술만으로도 잘 관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조직검사 결과지를 잘 확인하시고, 필요하다면 전문가 상담을 통해 치료 방향을 결정하세요.